핵심간호술의 단계별 성취수준?
간호학과는 학생들이 졸업 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간호술기 역량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평가하기 위해 18개 항목의 핵심간호술을 설정하고 있다. 핵심간호술 교육은 실습교과목과 연계하여 단계별로 이루어지며, 학생들이 졸업 전까지 핵심간호술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훈련하여 실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. 핵심간호술의 성취수준은 Level 1(이해, 설명), Level 2(적용, 분석), Level 3(평가, 통합)으로 구분하여 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취수준이 점진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.
핵심간호술 |
L1 |
L2 |
L3 |
핵심간호술의 기초를 이해하고 수행한다. | 관련 지식을 적용하여 단순 임상상황에서 올바른 핵심간호술을 선택하여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다. | 복합적 임상상황에서 간호문제 해결을 위해 올바른 핵심간호술을 선택하여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다. |
핵심간호술 항목(ver.3.0, 2023년도 입학생부터 적용)
번호 |
항목 |
난이도 |
1 |
활력징후 측정 |
하 |
2 |
경구투약 |
하 |
3 |
근육주사 |
중 |
4 |
피하주사 및 간이 혈당측정 검사 |
중 |
5 |
피내주사 전완의 내측면 |
상 |
6 |
정맥주사: 수액 주입(infusion pump 혹은 syringe pump) |
상 |
7 |
수혈 간호(3-way 사용포함) |
상 |
8 |
간헐적 위관영양 |
증 |
9 |
단순도뇨(Straight catheterization) |
중 |
10 |
유치도뇨(Indwelling catheterization) |
상 |
11 |
배출관장 |
중 |
12 |
말초 산소포화도 측정(Pulse oximeter)과 심전도 모니터(EKG monitor) 적용 |
하 |
13 |
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(고유량산소캐뉼라–HFNC포함) |
중 |
14 |
흡인(suction) : 구강인두 / 비강인두 혹은 기관내 흡인 / 기관절개관 흡인 |
상 |
15 |
기본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|
중 |
16 |
통증관리 |
중 |
17 |
욕창관리 및 낙상예방간호 |
하 |
18 |
배액관 관리(JP 또는 Hemovac) |
중 |
19 |
개인보호구 착탈의 |
하 |
2023년 입학생부터 적용되는 핵심간호술 평가체계(ver.3.0)
핵심간호술 평가체계 (ver. 3.0, 2023년도 입학생부터) |
||||
성취수준 |
L1 |
L2 |
L3 |
|
목표 성취수준 |
80% 이상의 학생이 ‘중’ 이상 달성 |
|||
루브릭 |
상: 90점 이상 중: 80점 이상 ~ 90점 미만 하: 80점 미만 |
|||
교과과정 |
기본간호학실습Ⅰ·Ⅱ |
임상실습교과목 BLS provider과정 |
종합실습Ⅰ |
|
평가시기 |
2학년 |
3,4학년 |
4학년 2학기 |
|
평가도구 |
-핵심간호술 프로토콜 19개 -지식, 태도, 숙련도, 시간 |
임상상황 시나리오 - 핵심간호술 프로토콜 19개 - 지식, 태도, 숙련도, 시간 |
동료 평가 |
-임상상황 시나리오 -핵심간호술 프로토콜(중·하 난이도 7개 평가) -지식, 태도, 숙련도, 시간 |
시뮬레이션 |
-임상상황 시나리오(13개 평가) -지식, 기술(술기), 태도 |
|||
추수지도관리 |
‘하’에 해당하는 경우 자율실습 및 재학습 후 술기 재시험을 실시 |
2025년도 졸업학년 핵심간호술 항목 및 평가체계(ver.2.1)
항목 및 평가체계 다운로드